-
명령어 구문 이해
명령의 구조
형식
[명령] [옵션] [인자]
명령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 date, man, ls, cp, mv 등
옵션
옵션을 사용하여 명령의 세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리눅스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인자
명령으로 전달되는 값으로 주로 파일명이나 디렉토리명이다.
ex)
명령어만 사용하는 경우 : ls
명령어와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 ls -al
명령어와 인자를 사용하는 경우 : ls /tmp
명령어와 옵션 그리고 인자를 모두 사용한 경우 : ls -al /tmp
리눅스 명령어의 특징
-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한 라인에 여러 개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 파일에 대한 사용 권한이 있다.
- 명령어 및 파일에 확장자가 없다(파일종류 확인 : file 파일명)
man : 명령어 설명 보기 --> man clear
--help : 명령어 도움말 보기 --> clear --help
편리한 명령어
~
현재 사용자의 home 디렉토리로 이동
!!
최근에 입력된 명력어를 다시 실행
!$
최근에 입력된 argument를 불러온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명령어 뒤에 쓴다 (vi !$)
reset
터미널을 화면을 비운다
shutsown -h now
지금 당장 종료한다
pwd : 현재 디렉토리 위치 확인
cat : 파일 읽기
vi : 파일 편집
rm : 파일 삭제
su - 계정명 : 계정을 변경하며, 해당 계정의 home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홈으로 이동하면서 각종 프로 파일이 실행될 수 있다
cd ~계정명 : 해당 계정의 홈으로 이동
neet to : 다른 대안이 존재한다
must to : 이것밖에 방법이 없다
text mining
- grep : 한 줄로 보기
- sed : 치환하기
- awk : 한 개의 열만 보기
터미널 종료 --> Ctrl + d/ exit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7 (0) 2017.02.14 리눅스6 (0) 2017.02.13 리눅스4 (0) 2017.02.12 리눅스3 : 디렉토리 (0) 2017.02.12 리눅스2 : centos 고정 IP 설정하기 (0) 2017.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