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JSP
-
-
ServletWEB/JSP 2016. 10. 9. 15:46
서블릿브라우저가 요청하면 서버는 서블릿을 통해 JSP를 화면에 뿌려준다. 1. 서블릿 생성2. 서블릿 맵핑하기3. 실행하여 웹브라우저에서 결과를 확인 >>내장객체request / response / session / application >>서블릿에서는 JAVA와 HTML 형식의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HTML형의식 코드를 작성할 경우 PrintWriter 객체를 불러와서 사용한다. >>서블릿을 생성할 때, web.xml에 맵핑된다.맵핑된 내용이 틀리면 에러가 발생하므로 꾸준히 web.xml을 확인해야 한다.
-
Error PageWEB/JSP 2016. 10. 9. 15:26
자주 발생하는 에러코드1. 404 : 해당 페이지 혹은 파일을 찾을 수 없다.2. 500 : 내부 서버 오류3. 200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이다.4. 304 : 다시 요청해본다. (변경 사항이 없다.) 에러 코드 처리웹 페이지에 에러 코드가 노출될 경우, 에러 코드와 함께 해당 웹 프로젝트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노출될 수 있다. web.xml 에러 코드 처리404/WEB-INF/view/error/404.jsp 주의사항>> Internet explorer에서는 일정 용량 이하의 jsp파일은 읽히지 않기 때문에...대신 주석으로 채울 것을 권장한다.
-
Get / Post 방식WEB/JSP 2016. 10. 9. 15:06
웹브라우저와 서버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Get 방식브라우져의 URL창에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담아서 보낸다.URL 주소창에 보내는 정보가 노출되므로 비교적 보안에 취약하다.보낼 수 있는 정보의 크기가 255자(1024byte)로 한정적이다. Post 방식2GB의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URL 주소창에 정보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보안성이 좋다.HTML에서 FORM, INPUT 태그를 사용해야 한다.Post 방식으로 전송될 value는 모두 name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JSP 기초WEB/JSP 2016. 10. 9. 14:53
JSP에서는 자바 형식의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JSP는 HTML에 JAVA 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작성된 JSP 페이지는 컨테이너가 서블릿 소스 코드로 변환하고 컴파일하여 서블릿 클래스로 만든다. 1. 지시자(directive) : 페이지는 자바 코드의 import와 같으며, 테그립은 기능을 정의한다. 2. 스크립틀릿(scriptlet) : 객체나 클래스를 사용할 경우 디렉티브 페이지를 통한 임폴트가 필요하다. 3. 표현식 : 표현식에서 세미콜론은 생략한다. 4. 선언부 : 표현식에서 사용할 메소드를 정의할 경우 쓰이지만 잘 사용되지 않는다.선언부로서 JSP파일 내부에 클래스, 인터페이스, 추상클래스 등을 만들 수 있다. TIP>> 스크립틀릿에서 자동 임폴트 단축키 : CTRL + SHI..
-
JSTL과 ELWEB/JSP 2016. 10. 9. 14:31
JSP파일에 자바형식의 코드를 사용하면 불편한 점이 있다.EL (Expression Language) 과 JSTL (Jsp Standard Tag Library)는 코드를 더욱 간결하게 만든다. JSP 2.0버전에서 새로 추가된 스크립트 언어인 EL(Expression Language)은 를 ${abc}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JSTL의 Core에서 c를 이용해 문을 , 문을 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EL (Expression Language) >> 사용목적 , out.println()과 같은 자바코드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좀더 간편하게 출력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배열이나 컬렉션에서도 사용되고, JavaBean의 프로퍼티에서도 사용된다. >> 문법Attribute형식에서는 ${cnt + 1..
-
DIVWEB/JSP 2016. 9. 26. 13:23
DIV - div.or.krCSS - www.w3schools.com/css/css_howto.asp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혼자 한 줄을 차지한다한 줄에 여러 div를 넣으려면 display:inline-block; 을 사용한다. 인라인은 우선 순위가 높다 그러므로 왠만하면 쓰지 않는다. CSS1. Inline style 2. Internal style sheet 3. External style sheetCSS 파일에서 태그와 클래스를 선언.JSP에서 CSS를 사용하기 위해서 class="??? xxx" 클래스는 스페이스로 구분된다.캐스캐딩(겹치는 것을 내가 원하는 대로) body { font-size: 50px; } div { border: 1px dashed #000000; font-size: 30px..
-
에러 페이지 처리WEB/JSP 2016. 9. 26. 11:28
Integer.parseInt("ABCDE"); ->의도적으로 넘버포멧 에러 발생. 에러가 발생하면 브라우저에 에러내용이 나오는데이것은 매우 민감한 정보이다1. 내가 어떤 서버를 사용하고 있는지 절대 알려줘서는 안된다.2. 우리가 만든 클래스의 구조가 다 나온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 에러가 나는지 해커들이 알고 공격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페이지를 간단히 만들어야 한다.view 폴더 아래 error폴더를 만들고 페이지를 만든다.web.xml에서 error코드를 추가시킨다. 인터넷 익스폴로러에서는 웹페이지가 표시되지 않는다용량이 작은 페이지는 이런 식으로 나오게 설정했다;;이것을 위해서 따로 설정이 필요하다그것은쓸 때 없는 주석 30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