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Centos
2. VirtualBox
Unix, Linux
open source로서 소프트웨어 소스를 공개하여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버그를 고쳐서 발전시킨다.
unix bsd판 무료지만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 server system, embedded system, mobile device, pc에 많이 쓰인다.
RHEL, CENTOS, SUSE, UBUNTU 등이 있다
KERNEL(씨앗) SHELL(껍질)
shell을 통해 커널에 접속한다. bash
package >> program >> process
일반적으로 업무에 사용하는 명령어는 60, 70개를 사용한다.
우리 회사 커널 버전 확인 >> uname -a
버전은 짝수이면 stable version / 홀수이면 beta version
배포판 계통도 >> http://futurist.se/gldt
서버 os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성, 성능, 기능이다.
환경설정
1. VirtualBox 관리자 - 파일 - 환경설정 - 입력 - 가상머신 - 호스트키조합 - Alt
2. 네트워크 - 추가 - 편집 - 포트 포워딩 - 게스트 IP = 가상 머신 IP/포트22
3. 새로 만들기 - 이름입력 - 파일 위치 및 크기에서 10GB이상으로 생성
4. 가상 머신 설정 - 저장소 - iso파일 추가, 네트워크 - NAT 네트워크
5. 가상 머신 실행 - centos 설치
네트워크
NAT: 인터넷으로 통신
NAT 네트워크 : 네트워크 내의 통신
bridge : dhcp서버를 통해 통신
CentOs 초기 설정
1. 시간과 언어 설정
2. 저장소 설정
3. Server with GUI
4. User 생성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6 (0) 2017.02.13 리눅스5 (0) 2017.02.12 리눅스4 (0) 2017.02.12 리눅스3 : 디렉토리 (0) 2017.02.12 리눅스2 : centos 고정 IP 설정하기 (0) 2017.02.12